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는 우리나라 해양생태계의 현황과 변화를 신속하게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전국 연안과 갯벌생태계 현황을 조사하는 사업입니다. 공단은 본 사업을 해양수산부로부터 위탁받아 우리나라 갯벌, 연안, 근해, 암반생태계 전반의 과학적 기초자료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생산된 조사ㆍ분석 자료는 해양생태도 작성, 해양보호구역 지정, 생물다양성 보전, 해양생태계 서식처 기능 개선·복원 사업의 기초자료, 지속이용 가능한 보전정책 수립·이행, 전 지구적 환경변화대응 등 건강한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한 국가 해양환경정책 수립의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사업목적
- 우리나라 해양생태계의 장ㆍ단기 변동 특성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파악
- 건강한 해양생태계 보전 전략 수립 및 해양공간관리를 위한 과학적인 기초자료 제공
- 위협요소ㆍ기후변화 사전대응, 해양생태자산 관리, 우수 해양생태계 보호, 해양의 지속이용 가능한 보전 등을 위한 체계적, 종합적인 해양생태계 보전ㆍ관리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확보
해양생태계
- 계절변동:해양생태계 구조파악
- 생물분포:동해,남해,서해
- 신종 및 미기록종 파악 : 해양생태평가지수 개발
- 생물다양성:해양보호구역지정,해양정책 제언
사업 추진경과 및 추진방향
- 2022년 (기본조사) 동ㆍ남해(동부)ㆍ제주권 (중점조사) 동ㆍ서ㆍ남해 65개소
- 2023년 (기본조사) 서ㆍ남해(서부)권 (중점조사) 동ㆍ서ㆍ남해 65개소
- 2024년 (기본조사) 동ㆍ남해(동부)ㆍ제주권 (중점조사) 동ㆍ서ㆍ남해 65개소
- 2025년 (기본조사) 서ㆍ남해(서부)권 (중점조사) 동ㆍ서ㆍ남해 65개소
- 2014년 : 기본조사 계획 수립
- 2015년 : (기본조사) 서ㆍ남해(서부)권 / (중점조사) 동ㆍ서ㆍ남해 12개소
- 2016년 : (기본조사) 동ㆍ남해(동부), 제주권 / (중점조사) 동ㆍ서ㆍ남해 13개소
- 2017년 : (기본조사) 서·남해(서부)권 / (중점조사) 동·서·남해 13개소
- 2018년 : (기본조사) 동·남해(동부)권, 제주권 / (중점조사) 동·서·남해 62개소
- 2019년 : (기본조사) 서·남해(서부)권 / (중점조사) 동·서·남해 61개소
- 2020년 : (기본조사) 동·남해(동부)권, 제주권 / (중점조사) 동·서·남해 61개소
- 2021년 : (기본조사) 서·남해(서부)권 / (중점조사) 동·서·남해 61개소
- 2022년 : (기본조사) 동·남해(동부), 제주권 / (중점조사) 동·서·남해 65개소
- 2023년 : (기본조사) 서·남해(서부)권 / (중점조사) 동·서·남해 65개소
추진체계
- 해양수산부
- 자문위원회
-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 사업단(총괄:해양환경공단)
- 현황조사
- 기본조사
- 갯벌생태
- 연안생태
- 암반생태
- 중점조사
- 갯벌생태
- 연·근안생태
- 암반생태
- 바닷새
- 긴급조사
- 기본조사
- 해양생태계 진단·평가
- 해양보호구역 후보지 조사
- ※ 지자체 등 지정조사 요청에 따라 향후 조사지역 결정
- 현황조사
세부사업 내용
- 기본조사 : 우리나라 2개 권역*으로 구분하여, 매년 1개 권역에 대해 연 1~2회 조사
* (홀수해) 서해, 남해서부권역 / (짝수해) 동해, 남해동부, 제주권역 - 중점조사 : 우리나라 해양생태계의 중요해역*을 정하여 매년조사
* 중요해역 : 하구해역, 한ㆍ난류 교차해역, 기후변화 취약해역, 우수 수중생태계 해역, 사회적 이슈 및 국민 인지도 높은 해역 등
조사범위
- 갯벌생태 조사정점도(기본)
갯벌생태 조사정점도 정보를 알려주는 표 입니다. 구분 정점수 합계 비고 퇴적/대형저서 염생식물 홀수해 서해, 남해서부 234 78 312 1회(하계) 짝수해 동해, 남해동부, 제주 132 44 176 합계 366 122 488 - 연안생태 조사정점도(기본)
연안생태 조사정점도(기본) 정보를 알려주는 표 입니다. 구분 정점 수 비고 홀수해 서해, 남해서부 56 2회(춘/하계) 짝수해 동해, 남해동부, 제주 54 합계 110 - 유영생태 조사정점도(기본)
유영생태 조사정점도(기본) 정보를 알려주는 표 입니다. 구분 정점 수 비고 홀수해 서해, 남해서부 20 2회(춘/하계) 짝수해 동해, 남해동부, 제주 34 합계 54 - 암반생태 조사정점도(기본)
암반생태 조사정점도 정보를 알려주는 표 입니다. 구분 정점 수 비고 홀수해 서해, 남해서부 11개소 2회(춘/하계) 짝수해 동해, 남해동부, 제주 25개소 합계 36개소 - 갯벌생태 조사정점도(중점)
갯벌생태 조사정점도(중점) 정보를 알려주는 표 입니다. 구분 지선 정점 조사 횟수
(시기)구분 지선 정점 조사 횟수
(시기)장봉도 5 15 1회
(하계)무안 4 12 1회
(하계)송도 3 9 신안 증도 6 18 시흥 1 3 자은·암태 2 6 대부도 4 12 비금·도초 5 15 가로림만 7 21 팔금·안좌 2 6 서천 4 12 진도 1 3 신두리 1 3 보성·벌교 3 9 소황사구 1 3 순천만 7 21 고창 3 9 마산봉암 2 6 줄포만 2 6 - 연안생태 조사정점도(중점)
연안생태 조사정점도(중점) 정보를 알려주는 표 입니다. 구분 정점 수 비고 한강 연안하구역 7 4회(동/춘/하/추계) 금강 연안하구역 6 영산강 연안하구역 6 강진·득량만 4 섬진강 연안하구역 6 낙동강 연안하구역 7 동해 연안용승역 6 합계 42 - 유영생태 조사정점도(중점)
유영생태 조사정점도(중점) 정보를 알려주는 표 입니다. 구분 정점 수 비고 중점조사(매년) 12 4회
(동·춘·하·추계) - 암반생태 조사정점도(중점)
암반생태 조사정점도(중점) 정보를 알려주는 표 입니다. 구 분 정점수 구 분 정점수 조사 횟수(시기) 제주 문섬 6 울릉도 3 2회(춘/하계) 여수 거문도 2 독도 4 부산 남형제섬 2 거제 홍도 3 울진 왕돌초 2 합계 22 - 근해생태 조사정점도
근해생태 조사정점도 정보를 알려주는 표 입니다. 구분 정점 수 비고 서해 6 1회(하계) 남해 4 동중국해 4 동해 6 합계 20 - 바닷새 조사정점도(중점)
바닷새 조사정점도(중점) 정보를 알려주는 표 입니다. 구분 정점 수 비고 중점조사
(매년)35 2회
(동/추계)
기본조사 조사항목 및 내용
대분야 | 소분야 | 조사항목 | 대상영역 | 세부내용 |
---|---|---|---|---|
생물 | 부유생물 | 미생물 | 해역 | 총균수 |
식물플랑크톤 | 해역 | chl a(total/nano/pico), 종조성, 현존량 | ||
동물플랑크톤 | 해역 | 종조성, 현존량, 생체량 | ||
어란/자치어 | 해역 | 종조성, 현존량 | ||
저서생물 | 중형저서동물 | 해역 | 종조성, 밀도, 생체량 | |
대형저서동물 | 갯벌 | 종조성, 밀도, 생체량, 건강도 | ||
암반 | 종조성, 밀도, 생체량 | |||
해역 | 종조성, 밀도, 생체량, 건강도 | |||
해조류 | 암반 | 종조성, 피도, 생체량 | ||
해초류 | 암반 | 종조성, 밀도, 생체량, 주요 군락지 | ||
염생식물 | 갯벌 | 종조성, 피도, 생체량 | ||
유영동물 | 어류 | 해역 | 종조성, 현존량, 생체량 | |
갑각류 | 해역 | 종조성, 현존량, 생체량 | ||
두족류 | 해역 | 종조성, 현존량, 생체량 | ||
기타 수산자원 | 해역 | 종조성, 현존량, 생체량 | ||
바닷새 | 갯벌/해역 | 종조성, 법정보호종, 군집특성 | ||
해양보호생물 | 갯벌/암반 | 서식분포, 밀도, 현존량, 후보종 탐사 | ||
비생물 | 해양환경 | 수질환경 | 해역 |
수온, 염분, pH, 투명도, 영양염, DO, SPM, POC/PON, 중금속(Ni, Cr6+, Cu, Zn, As, Cd, Hg, Pb) |
퇴적환경 | 갯벌 |
지형단면, 입도, 산휘발성황화물, 총유기탄소, 강열감량, 중금속(Ni, Al, Cr, Fe, Cu, Zn, As, Cd, Hg, Pb) |
||
해역 |
입도, 총유기탄소, 강열감량, 총질소, 중금속(Ni, Al, Cr, Fe, Cu, Zn, As, cd, Hg, Pb) |
|||
사회현황 | 주민인식변화 | 갯벌 | 주민인식 설문조사 |
2024년 사업계획
권역별 기본조사
- 대상지역: 동해, 남해(동부), 제주 해역
- 조사횟수: 갯벌 1회(하계), 연안 2회(춘·하계), 암반 2회(춘·하계)
권역별 중점조사
- 대상지역: 해양보호구역, 하구·용승해역, 해양생태학적 중요해역 등
- 조사횟수: 갯벌 1회(하계), 연안 4회(동·춘·하·추계), 암반 2회(춘·하계), 바닷새 2회(춘·추계), 근해 1회(하계)
해양보호구역 후보지 조사
- 국내·외 정책목표 달성을 위한 대형 해양보호구역 후보지 조사 실시
해양생태계 진단 및 평가
- 통합검증 DB 진단·평가를 통한 해양생태계 주요 이슈 주제도(정보지도) 작성
- 대형 해양보호구역 지정, 기후변화 대응 등 정책수요를 반영한 조사 개선(안) 마련
긴급조사
- 사회적 이슈, 민원제기 등 해양생태계 조사 수요 및 긴급 현안 발생시 긴급조사 수행
조사결과 활용 및 홍보
- 해양생태계 조사연보 및 해양생태총서 발간
- 소식지(‘바다숨’) 및 스토리 형식의 카드뉴스 제작
- 해양생태계 관련 심포지엄, 워크숍, 학술대회 특별세션 등 개최
- 홍보 리플릿 등 제작
정책지원
- 글로벌 목표에 따른 해양보호구역 지정·확대를 위한 과학적 근거자료 제공
- 해양생태축, 기후변화 지표종 등 활용한 해양환경 이슈 대응 지원
- 한·와덴해 과학자 교류, COBSEA 해양 및 연안생태계 실무그룹 등 국제협력 지원
- 해양생태계 조사 결과 활용 해양이용·개발사업 협의·평가 대응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