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EM 해양환경공단

팝업존
전체메뉴닫기

사업안내

해양생태계 복원

지속가능한 이용과 보전의 조화

본 사업은 과거 국토개발과정에서 훼손된 해양생태계의 서식처 기능을 개선하고 복원하여 해양생물 다양성을 회복하고 건강한 해양생태계를 만드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를 위하여 독도 해양생태계 서식처 기능 개선과 백령도 점박이물범 서식환경 개선, 제주도와 남해안 일대의 산호·해초류 서식환경 개선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사업목적

  •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환경의 변화와 인위적으로 훼손된 갯벌, 연안 등의 해양생태계 서식처를 개선ㆍ복원하여 풍요롭고 지속가능한 해양생태계 관리기반 조성
  • 서식지 보호와 훼손지 복원 등을 통해 해양보호생물 개체수 회복에 노력

서식환경 개선을 통한 종 다양성 회복

  • 범지구적인 기후변화와 해수온 상승 등에 의해 독도의 해양생태계가 훼손되고 조식동물의 이상증식 및 해조숲 훼손이 심화되어 이에 대한 복원 추진
  • 해양보호생물이자 멸종위기종인 점박이물범의 보존을 위해 위협요인 제거 및 서식환경 개선 등 지역사회, 시민단체와 보호협력 추진
  • 보호종 주요 서식지인 연산호 군락, 잘피숲 등을 대상으로 유령낚시어구, 해양폐기물 및 위협생물군을 제거하여 훼손된 해양생물 서식지 개선 추진

주요성과

독도 서식처 기능 개선 및 복원 사업 (’15년~’23년)
  • 독도 해중림 훼손 원인생물 제거, 해조류 이식(FIRA 협업), 천적생물 방류(지자체 협업) 등 다각적인 개선사업 추진
  • 기존 수거방법(’15~’16년)에서 수중 제거방법(’18~’22년)으로 변경하여 효율성 증진
  • 독도 해양생태계 변화(수온변화, 지표종 조사, BRUV 운영 등) 모니터링 시범조사(’23년)
  • 독도 성게 분포 사진 독도 성게 분포
  • 성게 제거 사진 성게 제거
  • 천적생물(돌돔) 방류 사진 천적생물(돌돔) 방류
백령도 점박이물범 서식지 개선 및 보호협력 사업 (’16년~’23년)
  • 지역어민과 점박이물범의 공존을 고려한 점박이물범 인공쉼터(복합공간) 완공(’18.11.)
  • 점박이물범의 인공쉼터 이용 최초 확인(’19.8.) 및 주변 위협요인 제거 추진(총 8회, 6톤 수거)
  • 백령도 현지 홍보안내판(하늬해변, 용틀임바위, 심청각) 설치, 백령중·고등학교 점박이물범 동아리 지식기부, 지역주민 점박이물범 보호활동 지원 등 지역기반 해양보호생물 보전관리 기틀 마련
  • 2016년
    • 점박이물범 보전·관리
    • 물범 쉼터 조성기반 연구
    • 점박이물범 지식기부(인식증진)
  • 2017년
    • 물범 쉼터 실시설계
    • 점박이물범 서식현황 조사
    • 점박이물범 지식기부(인식증진)
  • 2018년
    • 물범 쉼터 실시설계(변경)
    • 물범 쉼터 완공
    • 점박이물범 지식기부(인식증진)
  • 2019년
    • 물범 쉼터 이용현황 모니터링
    • 쉼터 이용 확인(8월) 및 위협요인 제거
    • 점박이물범 지식기부(인식증진)
  • 2020년
    • 물범 쉼터 이용현황 모니터링
    • 물범 먹이자원 수산종자 방류
    • 물범 서식지 정화활동
  • 2021년
    • 물범 쉼터 이용현황 모니터링
    • 물범 먹이자원 수산종자 방류
    • 물범 서식지 정화활동
  • 2022년
    • 물범 쉼터 이용현황 모니터링
    • 물범 쉼터 정밀진단
    • 물범 먹이자원 수산종자 방류
    • 물범 서식지 정화활동
  • 2023년
    • 물범 쉼터 이용현황 모니터링
    • 물범 먹이자원 수산종자 방류
    • 물범 서식지 정화활동
    • 물범 홍보안내판 현행화
해양보호생물 보전 및 관리

본 사업은 법적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는 해양보호생물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통하여 해양생태계 다양성을 회복하고 나아가 건강한 해양생태계를 만드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를 위하여 해양보호생물의 서식현황 조사 및 인공증식 기술개발 지원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해양생물의 서식지외 보전 및 해양동물의 구조·치료 지원업무를 함께 수행합니다.

사업목적

서식지 훼손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하여 개체수가 현저하게 감소하거나 학술적·경제적 보호가치가 있는 해양보호생물의 증식 및 방류 등을 통한 해양생물다양성 증진 및 지속가능한 이용·보전의 조화를 도모

해양보호생물의 체계적 관리기반 마련

  • 해양보호생물 서식실태 조사를 통해 위협요인 저감 등 종 복원 등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
  • 서식지외보전기관의 해양보호생물 관련 연구 및 기술개발 활동 지원 및 해양동물전문구조·치료기관의 구조·치료·방류 활동 지원
  • 서식지외보전기관 및 구조·치료기관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 실시
  • 대국민 해양생물 인식 제고를 위한 해양생물 관련 홍보자료 제작 및 배포, 지식기부, 해양생물 콘텐츠 공모전 개최, 국내·외 대외 협력 등

2024년 사업 추진 계획

해양보호생물 서식지외 보전 기술개발 및 해양동물 구조·치료·방류 지원
  • 서식지외보전기관의 해양보호생물 증식 기술개발 연구 지원
  • 해양동물전문구조·치료기관의 해양동물 구조·치료활동 지원 및 역량강화
  • 단체사진단체사진
  • 해부 실습해부 실습

주요성과

과거 독도 바다사자(강치)의 주요 서식지 문헌 및 현장조사를 통해 잔존뼈 발굴
  • 국제유전자정보은행(GenBank, NCBI)에 등록된 바다사자(Zalophus japonicus) 유전자 정보와 99.39% 일치
  • 절멸된 것으로 보고된 독도 바다사자(강치) 잔존뼈 활용, 대국민 교육 및 전시용 3D 형상 모형 및 전시 디오라마 제작
주요성과 사진
해양포유류(기각류) 환경 유전자 조사·분석 도입 및 시범 적용
러시아 해양포유류 국제 컨퍼런스 및 저명 국제 학술지(SCI) 등 연구결과 공유
무인기(드론), 수중음향장비를 활용한 상괭이 서식실태조사 도입
해양포유류(상괭이 등) 폐사원인 분석
IUCN WCC 상괭이 보전 결의안 대응
  • 황해 인접국 간 황해 상괭이 보전 워킹그룹 운영
  • 고래 보전을 위한 국제 컨퍼런스 개최
  • 고래 보전 국제 컨퍼런스 단체사진단체사진
  • 고래 보전 국제 컨퍼런스 발표발표
  • 고래 보전 국제 컨퍼런스 전시전시
서식지외보전사업 및 해양동물 구조·치료활동 지원
  • 2020년 교육·훈련 프로그램 사진 2020년 교육·훈련 프로그램(온라인)
  • 2021년 교육·훈련 프로그램 사진 2021년 교육·훈련 프로그램
  • 2022년 교육·훈련 프로그램 사진 2022년 교육·훈련 프로그램
인공증식 및 구조·치료된 해양생물 방류(해양동물전문구조·치료기관 지원)
  • 인공증식(바다거북류) 해양생물
    • (’18)푸른바다거북 5마리 방류
    • (’19)푸른바다거북 3마리 방류
    • (’20)푸른바다거북 8마리, 매부리바다거북 8마리 방류
    • (’22)매부리바다거북 3마리 방류
  • 인공증식(무척추동물) 해양생물
    • (’18)갯게 인공증식 기술개발 및 어린게 500마리 방류
    • (’18)붉은발말똥게 어린게 500마리 방류
    • (’19)두이빨사각게 인공증식 기술개발 및 어린게 500마리 방류
    • (’19)갯게 어린게 1,000마리 및 남방방게 어린게 100마리 방류
  • 구조·치료 해양생물
    • (’16)점박이물범 1마리 방류
    • (’18)붉은바다거북 2마리, 푸른바다거북 1마리 방류
    • (’19)붉은바다거북 2마리, 푸른바다거북 2마리 방류
    • (’20)붉은바다거북 1마리, 푸른바다거북 1마리 방류
    • (’21)붉은바다거북 3마리, 푸른바다거북 3마리 방류
    • (’22)붉은바다거북 1마리, 푸른바다거북 2마리 방류
    • (’23)붉은바다거북 1마리, 푸른바다거북 2마리 방류
  • 바다거북 방류 사진1
  • 바다거북 방류 사진2바다거북 방류
  • 바다거북 방류 사진3
해양보호생물 인식증진 및 대내외 협력
  • 거리캠페인(홍대) 활동으로 대국민 보호인식 증진(’17)
  • 해양보호생물 서식지 인근 초·중·고등생 대상 지식기부(’18)
  • 대국민 인식조사 및 해양생태계 보호 캠페인(’18)
  • 점박이물범, 해마·잘피 홍보안내판 설치(’18)
  • 백령도 중·고등학생 및 지역주민 대상 지식기부(’19)
  • 공영홈쇼핑 협업 ‘독도 해양생물 다양성 회복 기념행사’ 공익광고 제작 및 송출(’19)
  • 이달의 해양생물 포스터 제작·배포(’16~’23) 및 해양생물 콘텐츠 공모전 개최(’14~’23)
  • 지식기부(’18) 사진 지식기부(’18)
  • 대국민 인식증진 캠페인(’18) 사진 대국민 인식증진 캠페인(’18)
  • 이달의 해양생물 포스터(’23) 사진 이달의 해양생물
    포스터(’23)
  • 해양생물 콘텐츠 공모전 개최(’23) 사진 해양생물 콘텐츠 공모전 개최(’23)
유해해양생물 보름달물해파리 관리

본 사업은 보름달물해파리 피해 사전예방을 위하여 해파리 폴립(부착유생) 단계에 대한 제거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거 전·후 해파리 및 생태계를 모니터링하여 해양생태계 개선 및 관리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사업목적

  • 대량발생으로 인하여 해양생태계와 서식지를 교란하는 보름달물해파리 폴립을 제거하여 수산업 피해를 저감하고 해양자산의 건강성을 회복하여 국민 경제 활성화에 기여

해파리 부착유생(폴립) 제거의 효과성

폴립(1개체당 0.4μg)제거는 성체(1개체당 300g)구제 비용의 0.8~3.1%에 불과 - 저비용, 고효율적인 방법으로 해파리 대량발생 사전 예방

보름달물해파리 폴립 제거사업 모식도

보름달물해파리의 생활사
보름달물해파리 폴립 제거사업 모식도 이미지
  • 1마리 : 부착유생(폴립)-증식250배
  • 부착유생 - 20배:변태
  • 부착유생 - 방출
  • 부유유생(에피라) - 성장
  • 성체 : 5000마리
  • 부유유생(폴라눌라)
보름달물해파리란
  • 4~8월에 전국 연안의 흐름이 약한 곳에서 대량 출현하여 어업, 발전소, 해수욕객에게 피해 유발
  • 무색 또는 유백색으로,우산은 15~30cm 크기 내외이며 보름달 모양
  •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 2조에 따른 유해해양생물 지정종
해파리 폴립 제거 방식

해수고압분사 또는 다양한 물리적 방법(스크래퍼, 평삽, 브러쉬 등) 부착상태의 해파리 폴립제거

  - 고압분사란? 바닷물을 높은 압력으로 분사하는 친환경적 제거 방식

폴립제거 전·후 모습

  • 폴립제거 전후 모습 사진제거 전
  • 폴립제거 전후 모습 사진제거 후

2024년 사업 추진 계획

전북, 전남, 경남 권역 해파리 폴립 대량서식지 제거
  • 폴립 대량서식 해역(새만금 및 인근해역, 목포항 등) 대상 폴립제거 실시
  • 해파리 광역 탐색 모니터링에 의한 차기 폴립제거 후보지 발굴 및 폴립제거 효과성 검증

    * 시화호, 새만금, 마산만, 가막만, 완도, 해남, 강진, 전곡항, 목포항, 어란진항, 비봉마리나, 오천항, 잠두항 등

보름달물해파리 폴립 분포도
보름달물해파리 폴립 분포도 사진
1. 밀집지역 : 강원 양양, 포항 요트계류장, 통영, 남해, 군산항, 천수만, 대산항, 평택항, 송도, 인천내항 2. 서식지역 : 도두항, 김녕항, 완도, 광암항, 양포항, 오산항, 개야도, 어청도 3. 제거지역 : 진도, 완도, 해남, 강진만, 득량만, 가막만, 압해도, 목포, 마산만, 진해만, 새만금, 당진항, 시화호

해양수산부 해파리 폴립 탐색 및 제거

주요성과 (해파리 폴립 제거)
년도 대상해역 실 적
2013 시화호 (제거) 1억 6,000만 개체
마산만 (제거) 7,500만 개체
2014 마산만 (제거) 2억 3,000만 개체
새만금 (제거) 2,500만 개체
2015 새만금 (제거) 2억 2,000만 개체
가막만 (제거) 1,000만 개체
2016 새만금 (제거) 2억 5,000만 개체
가막만 (제거) 2억 9,000만 개체
여자만 (제거) 93만 개체
득량만 (제거) 3,800만 개체
포항 장길리항 (발굴) 폴립서식지 1개소(504㎡)
2017 전남남부 (해남, 완도, 강진만,
고금도, 조약도, 가막만)
(제거) 4억 400만 개체
전북 가력도항, 경남 서상항 (제거) 9,300만 개체
새만금, 득량만 (제거) 9,000만 개체
충남 당진항, 전북 비응항,
경남 장포항, 경남 가오치항
(제거) 1,000만 개체
전국 해파리 폴립 탐색 (탐색) 전국 30개 지역 441개 구조물
(발굴) 161개 폴립 서식 구조물
2018 인천 송도LNG기지, 당진항, 평택항 (제거) 1억 4,000만 개체
전곡항 (시범제거) 2,000만 개체
2019 인천항(남항, 북항, 연안부두), 전곡항 (제거) 5억 4,000만 개체
평택항 서부두 (시범제거) 500만 개체
2020 인천항(관공선부두), 대산항, 전곡부잔교, 평택항서부두 (제거) 2억 9,600만 개체
2021 평택항, 전곡항, 천수만, 비응항, 도남항, 강구안, 북신만, 완도 (제거) 3억 8,000만 개체
2022 완도·통영 도서지역, 부산수영요트계류장, 포항요트계류장, 김녕항, 격포항, 가력도항, 궁항, 신시도항, 야미도항 (제거) 2억 9,900만 개체
2023 인천항, 새만금, 목포항, 득량만, 거제만 (제거) 5억 6,200만 개체

지방자치단체 해파리 폴립탐색 및 제거

지방자치단체 해파리 폴립탐색 및 제거 (해파리 폴립 제거)
년도 대상해역 실 적
2014~
2015
득량만 (제거) 2억 6,000만 개체
전남서부(함평만, 압해도, 목포시) (발굴) 폴립서식지 3개소(3,515㎡)
2015~
2016
압해도, 목포신·구항 (제거) 1억 4,000만 개체
전남남부(완도, 해남, 강진만,
고금도, 조약도, 신지도)
(발굴) 폴립서식지 6개소(1,898㎡)
2018 마산가포신항, 수정만 (발굴) 폴립서식지 2개소(3,245㎡)
(제거) 1,000만 개체
2019 장포항 (제거) 1,100만 개체
적량항 (발굴) 폴립서식지 1개소(7,779㎡)
진동만(광암항, 고현항) (제거) 1,500만 개체
원문만, 산양읍 (제거) 1,700만 개체
거제면, 동부면 (제거) 3,500만 개체
고성만, 자란만, 하이화력발전소, 당항만 (제거) 4,700만 개체
2020 적량항 (제거) 2,000만 개체
창선면, 삼동면 (발굴) 폴립 서식지 2개소(1,287㎡)
가포신항, 구산면 (제거) 1,400만 개체
광도면, 통영 유람선 터미널 (제거) 1,200만 개체
일운면, 장승포동 (제거) 7,300만 개체
득량만 (제거) 2억 개체
2021 둔덕면, 거제만, 일운면 (제거) 1,200만 개체
원전항, 마산항 (제거) 1,700만 개체
격포항, 가력도항 (제거) 3,400만 개체
2022 마산항, 욱곡만 (제거) 1,700만 개체
격포항, 궁항 (제거) 5,600만 개체
2023
(1차)
가포신항, 원전항 (제거) 1,200만 개체
격포항, 가력도항 (제거) 2,000만 개체
2023
(2차)
새만금 추진중
새만금 추진중
유해해양생물 갯끈풀 제거·관리

유해해양생물 및 생태교란생물로 지정된 갯끈풀은 국내에서 2015년 공식적으로 첫 보고된 이후 강화도 등지에서 빠른 속도로 번식하여 우리나라 토종 갯벌생태계를 황폐화시키고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외래종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약 1조 4천억 달러에 이르며(Pimentel, 2001) 이에 따라 해양환경공단에서는 갯끈풀 분포현황 파악 및 생태조사, 제거·모니터링 및 효과분석, 추가발견지역 긴급대응, 홍보·교육 등을 통해 우리나라 해양생태계 보전과 지역경제 피해 예방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 갯끈풀 : 다년생 벼과 기수성 생물이며, 동일 속의 식물과 교잡하여 생성된 잡종의 번식이 왕성해 2차적 피해를 야기한다. 전 세계적으로 17종이 존재한다고 알려졌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갯줄풀(Spartina alterniflora)과 영국갯끈풀(Spartina anglica) 두 종이 출현하고 있다.

사업목적

  • 유해해양생물 갯끈풀 제거ㆍ관리를 통해 토종 염생식물 서식지 보호 및 갯벌의 육지화 방지
  • 외래종 갯끈풀 번식지 확산을 방지하여 해양생태계 보전 및 수산업 피해 발생 저감

갯끈풀 형태ㆍ생태적 특징

  • 다년생 초본, 만조와 간조사이에 지면이 드러나는 곳의 간만의 차가 큰 갯벌에 분포
  • 잎은 두텁고 다소 넓은 긴 칼날 모양을 하며 끝은 뾰족함
  • 잎 폭은 0.6~1.5cm, 높이는 0.4~3m 정도까지 자라며, 서로 촘촘히 붙어 성장하며 군생함
  • 지하경을 길게 뻗고, 잔뿌리가 많아 복잡한 근계(complex root system)를 형성하여 무성번식으로 재생될 수 있음

갯끈풀 식별방법

  • 갯끈풀 이미지
    갯끈풀
    • 1.지상부 초입부터 잎이 생장
    • 2.화서가 거의 없음
    • 3.근계가 매우 복잡하게 형성
    • 4.소~대형 원형군락 형성
    • 5.강한 번식력
    • 6.길이 100~250cm
  • 갈대 이미지
    갈대
    • 1.지면에서 20cm 이상 높이부터 잎이 생장
    • 2.화서가 크고 두꺼움
    • 3.길이 100~300cm
  • 지채 이미지
    지채
    • 1.개체길이가 짧음
    • 2.주로 소형군락(직경 50cm이하) 형성
    • 3.길이 10~50cm

갯끈풀 국내분포 현황
(2023.12 기준)

갯끈풀 국내분포 현황 지도 이미지 - 인천광역시 강화도, 인천광역시 영종도, 신도, 장봉도, 경기도 안산시 대부도, 충청남도 서산시, 서천군, 전라북도 김제, 전라남도 진도군

갯끈풀 제거방법

  • 물리적 제거 - 예초기, 낫, 중장비 이용 사진 물리적 제거 - 예초기, 낫, 중장비 이용
  • 화학적제거 - 제초제 이용 사진 화학적제거 - 제초제 이용
  • 생물학적 제거 - 멸구류 수액 및 곤충 이용 사진 생물학적 제거 - 멸구류 수액 및 곤충 이용
 

※ 국내에서는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해 물리적 제거방식에 국한하여 시행

 
  • 갯끈풀 제거작업 전·후  사진1
  • 갯끈풀 제거작업 전·후  사진2 갯끈풀 제거작업 전·후
  • 갯끈풀 제거작업 전·후  사진3

2024년 사업추진 계획

  • 갯끈풀 주 서식지인 강화도 주변 갯끈풀 제거 및 처리
  • 갯끈풀 서식지 자연생태조사 및 해양환경영향조사
  • 전국단위 갯끈풀 서식현황 모니터링 및 긴급대응
  • 갯끈풀 이력관리를 위한 서식지 공간관리기반 구축
  • 갯끈풀 제거 및 관리 사업 교육·홍보·대외협력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