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생태계 복원
본 사업은 과거 국토개발과정에서 훼손된 해양생태계의 서식처 기능을 개선하고 복원하여 해양생물 다양성을 회복하고 건강한 해양생태계를 만드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를 위하여 독도 해양생태계 서식처 기능 개선과 백령도 점박이물범 서식환경 개선, 제주도와 남해안 일대의 산호·해초류 서식환경 개선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사업목적
-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환경의 변화와 인위적으로 훼손된 갯벌, 연안 등의 해양생태계 서식처를 개선ㆍ복원하여 풍요롭고 지속가능한 해양생태계 관리기반 조성
- 서식지 보호와 훼손지 복원 등을 통해 해양보호생물 개체수 회복에 노력
서식환경 개선을 통한 종 다양성 회복
- 범지구적인 기후변화와 해수온 상승 등에 의해 독도의 해양생태계가 훼손되고 조식동물의 이상증식 및 해조숲 훼손이 심화되어 이에 대한 복원 추진
- 해양보호생물이자 멸종위기종인 점박이물범의 보존을 위해 위협요인 제거 및 서식환경 개선 등 지역사회, 시민단체와 보호협력 추진
- 보호종 주요 서식지인 연산호 군락, 잘피숲 등을 대상으로 유령낚시어구, 해양폐기물 및 위협생물군을 제거하여 훼손된 해양생물 서식지 개선 추진
주요성과
독도 서식처 기능 개선 및 복원 사업 (’15년~’23년)
- 독도 해중림 훼손 원인생물 제거, 해조류 이식(FIRA 협업), 천적생물 방류(지자체 협업) 등 다각적인 개선사업 추진
- 기존 수거방법(’15~’16년)에서 수중 제거방법(’18~’22년)으로 변경하여 효율성 증진
- 독도 해양생태계 변화(수온변화, 지표종 조사, BRUV 운영 등) 모니터링 시범조사(’23년)
- 독도 성게 분포
- 성게 제거
- 천적생물(돌돔) 방류
백령도 점박이물범 서식지 개선 및 보호협력 사업 (’16년~’23년)
- 지역어민과 점박이물범의 공존을 고려한 점박이물범 인공쉼터(복합공간) 완공(’18.11.)
- 점박이물범의 인공쉼터 이용 최초 확인(’19.8.) 및 주변 위협요인 제거 추진(총 8회, 6톤 수거)
- 백령도 현지 홍보안내판(하늬해변, 용틀임바위, 심청각) 설치, 백령중·고등학교 점박이물범 동아리 지식기부, 지역주민 점박이물범 보호활동 지원 등 지역기반 해양보호생물 보전관리 기틀 마련
- 2016년
- 점박이물범 보전·관리
- 물범 쉼터 조성기반 연구
- 점박이물범 지식기부(인식증진)
- 2017년
- 물범 쉼터 실시설계
- 점박이물범 서식현황 조사
- 점박이물범 지식기부(인식증진)
- 2018년
- 물범 쉼터 실시설계(변경)
- 물범 쉼터 완공
- 점박이물범 지식기부(인식증진)
- 2019년
- 물범 쉼터 이용현황 모니터링
- 쉼터 이용 확인(8월) 및 위협요인 제거
- 점박이물범 지식기부(인식증진)
- 2020년
- 물범 쉼터 이용현황 모니터링
- 물범 먹이자원 수산종자 방류
- 물범 서식지 정화활동
- 2021년
- 물범 쉼터 이용현황 모니터링
- 물범 먹이자원 수산종자 방류
- 물범 서식지 정화활동
- 2022년
- 물범 쉼터 이용현황 모니터링
- 물범 쉼터 정밀진단
- 물범 먹이자원 수산종자 방류
- 물범 서식지 정화활동
- 2023년
- 물범 쉼터 이용현황 모니터링
- 물범 먹이자원 수산종자 방류
- 물범 서식지 정화활동
- 물범 홍보안내판 현행화
본 사업은 법적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는 해양보호생물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통하여 해양생태계 다양성을 회복하고 나아가 건강한 해양생태계를 만드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를 위하여 해양보호생물의 서식현황 조사 및 인공증식 기술개발 지원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해양생물의 서식지외 보전 및 해양동물의 구조·치료 지원업무를 함께 수행합니다.
사업목적
서식지 훼손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하여 개체수가 현저하게 감소하거나 학술적·경제적 보호가치가 있는 해양보호생물의 증식 및 방류 등을 통한 해양생물다양성 증진 및 지속가능한 이용·보전의 조화를 도모
해양보호생물의 체계적 관리기반 마련
- 해양보호생물 서식실태 조사를 통해 위협요인 저감 등 종 복원 등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
- 서식지외보전기관의 해양보호생물 관련 연구 및 기술개발 활동 지원 및 해양동물전문구조·치료기관의 구조·치료·방류 활동 지원
- 서식지외보전기관 및 구조·치료기관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 실시
- 대국민 해양생물 인식 제고를 위한 해양생물 관련 홍보자료 제작 및 배포, 지식기부, 해양생물 콘텐츠 공모전 개최, 국내·외 대외 협력 등
2024년 사업 추진 계획
해양보호생물 서식지외 보전 기술개발 및 해양동물 구조·치료·방류 지원
- 서식지외보전기관의 해양보호생물 증식 기술개발 연구 지원
- 해양동물전문구조·치료기관의 해양동물 구조·치료활동 지원 및 역량강화
- 단체사진
- 해부 실습
주요성과
과거 독도 바다사자(강치)의 주요 서식지 문헌 및 현장조사를 통해 잔존뼈 발굴
- 국제유전자정보은행(GenBank, NCBI)에 등록된 바다사자(Zalophus japonicus) 유전자 정보와 99.39% 일치
- 절멸된 것으로 보고된 독도 바다사자(강치) 잔존뼈 활용, 대국민 교육 및 전시용 3D 형상 모형 및 전시 디오라마 제작
해양포유류(기각류) 환경 유전자 조사·분석 도입 및 시범 적용
러시아 해양포유류 국제 컨퍼런스 및 저명 국제 학술지(SCI) 등 연구결과 공유
무인기(드론), 수중음향장비를 활용한 상괭이 서식실태조사 도입
해양포유류(상괭이 등) 폐사원인 분석
IUCN WCC 상괭이 보전 결의안 대응
- 황해 인접국 간 황해 상괭이 보전 워킹그룹 운영
- 고래 보전을 위한 국제 컨퍼런스 개최
- 단체사진
- 발표
- 전시
서식지외보전사업 및 해양동물 구조·치료활동 지원
- 2020년 교육·훈련 프로그램(온라인)
- 2021년 교육·훈련 프로그램
- 2022년 교육·훈련 프로그램
인공증식 및 구조·치료된 해양생물 방류(해양동물전문구조·치료기관 지원)
- 인공증식(바다거북류) 해양생물
- (’18)푸른바다거북 5마리 방류
- (’19)푸른바다거북 3마리 방류
- (’20)푸른바다거북 8마리, 매부리바다거북 8마리 방류
- (’22)매부리바다거북 3마리 방류
- 인공증식(무척추동물) 해양생물
- (’18)갯게 인공증식 기술개발 및 어린게 500마리 방류
- (’18)붉은발말똥게 어린게 500마리 방류
- (’19)두이빨사각게 인공증식 기술개발 및 어린게 500마리 방류
- (’19)갯게 어린게 1,000마리 및 남방방게 어린게 100마리 방류
- 구조·치료 해양생물
- (’16)점박이물범 1마리 방류
- (’18)붉은바다거북 2마리, 푸른바다거북 1마리 방류
- (’19)붉은바다거북 2마리, 푸른바다거북 2마리 방류
- (’20)붉은바다거북 1마리, 푸른바다거북 1마리 방류
- (’21)붉은바다거북 3마리, 푸른바다거북 3마리 방류
- (’22)붉은바다거북 1마리, 푸른바다거북 2마리 방류
- (’23)붉은바다거북 1마리, 푸른바다거북 2마리 방류
- 바다거북 방류
해양보호생물 인식증진 및 대내외 협력
- 거리캠페인(홍대) 활동으로 대국민 보호인식 증진(’17)
- 해양보호생물 서식지 인근 초·중·고등생 대상 지식기부(’18)
- 대국민 인식조사 및 해양생태계 보호 캠페인(’18)
- 점박이물범, 해마·잘피 홍보안내판 설치(’18)
- 백령도 중·고등학생 및 지역주민 대상 지식기부(’19)
- 공영홈쇼핑 협업 ‘독도 해양생물 다양성 회복 기념행사’ 공익광고 제작 및 송출(’19)
- 이달의 해양생물 포스터 제작·배포(’16~’23) 및 해양생물 콘텐츠 공모전 개최(’14~’23)
- 지식기부(’18)
- 대국민 인식증진 캠페인(’18)
- 이달의 해양생물
포스터(’23) - 해양생물 콘텐츠 공모전 개최(’23)
본 사업은 보름달물해파리 피해 사전예방을 위하여 해파리 폴립(부착유생) 단계에 대한 제거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거 전·후 해파리 및 생태계를 모니터링하여 해양생태계 개선 및 관리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사업목적
- 대량발생으로 인하여 해양생태계와 서식지를 교란하는 보름달물해파리 폴립을 제거하여 수산업 피해를 저감하고 해양자산의 건강성을 회복하여 국민 경제 활성화에 기여
해파리 부착유생(폴립) 제거의 효과성
보름달물해파리 폴립 제거사업 모식도
보름달물해파리의 생활사
- 1마리 : 부착유생(폴립)-증식250배
- 부착유생 - 20배:변태
- 부착유생 - 방출
- 부유유생(에피라) - 성장
- 성체 : 5000마리
- 부유유생(폴라눌라)
보름달물해파리란
- 4~8월에 전국 연안의 흐름이 약한 곳에서 대량 출현하여 어업, 발전소, 해수욕객에게 피해 유발
- 무색 또는 유백색으로,우산은 15~30cm 크기 내외이며 보름달 모양
-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 2조에 따른 유해해양생물 지정종
해파리 폴립 제거 방식
해수고압분사 또는 다양한 물리적 방법(스크래퍼, 평삽, 브러쉬 등) 부착상태의 해파리 폴립제거
- 고압분사란? 바닷물을 높은 압력으로 분사하는 친환경적 제거 방식
폴립제거 전·후 모습
- 제거 전
- 제거 후
2024년 사업 추진 계획
전북, 전남, 경남 권역 해파리 폴립 대량서식지 제거
- 폴립 대량서식 해역(새만금 및 인근해역, 목포항 등) 대상 폴립제거 실시
- 해파리 광역 탐색 모니터링에 의한 차기 폴립제거 후보지 발굴 및 폴립제거 효과성 검증
* 시화호, 새만금, 마산만, 가막만, 완도, 해남, 강진, 전곡항, 목포항, 어란진항, 비봉마리나, 오천항, 잠두항 등
보름달물해파리 폴립 분포도
해양수산부 해파리 폴립 탐색 및 제거
년도 | 대상해역 | 실 적 |
---|---|---|
2013 | 시화호 | (제거) 1억 6,000만 개체 |
마산만 | (제거) 7,500만 개체 | |
2014 | 마산만 | (제거) 2억 3,000만 개체 |
새만금 | (제거) 2,500만 개체 | |
2015 | 새만금 | (제거) 2억 2,000만 개체 |
가막만 | (제거) 1,000만 개체 | |
2016 | 새만금 | (제거) 2억 5,000만 개체 |
가막만 | (제거) 2억 9,000만 개체 | |
여자만 | (제거) 93만 개체 | |
득량만 | (제거) 3,800만 개체 | |
포항 장길리항 | (발굴) 폴립서식지 1개소(504㎡) | |
2017 | 전남남부 (해남, 완도, 강진만, 고금도, 조약도, 가막만) |
(제거) 4억 400만 개체 |
전북 가력도항, 경남 서상항 | (제거) 9,300만 개체 | |
새만금, 득량만 | (제거) 9,000만 개체 | |
충남 당진항, 전북 비응항, 경남 장포항, 경남 가오치항 |
(제거) 1,000만 개체 | |
전국 해파리 폴립 탐색 | (탐색) 전국 30개 지역 441개 구조물 (발굴) 161개 폴립 서식 구조물 |
|
2018 | 인천 송도LNG기지, 당진항, 평택항 | (제거) 1억 4,000만 개체 |
전곡항 | (시범제거) 2,000만 개체 | |
2019 | 인천항(남항, 북항, 연안부두), 전곡항 | (제거) 5억 4,000만 개체 |
평택항 서부두 | (시범제거) 500만 개체 | |
2020 | 인천항(관공선부두), 대산항, 전곡부잔교, 평택항서부두 | (제거) 2억 9,600만 개체 |
2021 | 평택항, 전곡항, 천수만, 비응항, 도남항, 강구안, 북신만, 완도 | (제거) 3억 8,000만 개체 |
2022 | 완도·통영 도서지역, 부산수영요트계류장, 포항요트계류장, 김녕항, 격포항, 가력도항, 궁항, 신시도항, 야미도항 | (제거) 2억 9,900만 개체 |
2023 | 인천항, 새만금, 목포항, 득량만, 거제만 | (제거) 5억 6,200만 개체 |
지방자치단체 해파리 폴립탐색 및 제거
년도 | 대상해역 | 실 적 |
---|---|---|
2014~ 2015 |
득량만 | (제거) 2억 6,000만 개체 |
전남서부(함평만, 압해도, 목포시) | (발굴) 폴립서식지 3개소(3,515㎡) | |
2015~ 2016 |
압해도, 목포신·구항 | (제거) 1억 4,000만 개체 |
전남남부(완도, 해남, 강진만, 고금도, 조약도, 신지도) |
(발굴) 폴립서식지 6개소(1,898㎡) | |
2018 | 마산가포신항, 수정만 | (발굴) 폴립서식지 2개소(3,245㎡) |
(제거) 1,000만 개체 | ||
2019 | 장포항 | (제거) 1,100만 개체 |
적량항 | (발굴) 폴립서식지 1개소(7,779㎡) | |
진동만(광암항, 고현항) | (제거) 1,500만 개체 | |
원문만, 산양읍 | (제거) 1,700만 개체 | |
거제면, 동부면 | (제거) 3,500만 개체 | |
고성만, 자란만, 하이화력발전소, 당항만 | (제거) 4,700만 개체 | |
2020 | 적량항 | (제거) 2,000만 개체 |
창선면, 삼동면 | (발굴) 폴립 서식지 2개소(1,287㎡) | |
가포신항, 구산면 | (제거) 1,400만 개체 | |
광도면, 통영 유람선 터미널 | (제거) 1,200만 개체 | |
일운면, 장승포동 | (제거) 7,300만 개체 | |
득량만 | (제거) 2억 개체 | |
2021 | 둔덕면, 거제만, 일운면 | (제거) 1,200만 개체 |
원전항, 마산항 | (제거) 1,700만 개체 | |
격포항, 가력도항 | (제거) 3,400만 개체 | |
2022 | 마산항, 욱곡만 | (제거) 1,700만 개체 |
격포항, 궁항 | (제거) 5,600만 개체 | |
2023 (1차) |
가포신항, 원전항 | (제거) 1,200만 개체 |
격포항, 가력도항 | (제거) 2,000만 개체 | |
2023 (2차) |
새만금 | 추진중 |
새만금 | 추진중 |
유해해양생물 및 생태교란생물로 지정된 갯끈풀은 국내에서 2015년 공식적으로 첫 보고된 이후 강화도 등지에서 빠른 속도로 번식하여 우리나라 토종 갯벌생태계를 황폐화시키고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외래종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약 1조 4천억 달러에 이르며(Pimentel, 2001) 이에 따라 해양환경공단에서는 갯끈풀 분포현황 파악 및 생태조사, 제거·모니터링 및 효과분석, 추가발견지역 긴급대응, 홍보·교육 등을 통해 우리나라 해양생태계 보전과 지역경제 피해 예방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 갯끈풀 : 다년생 벼과 기수성 생물이며, 동일 속의 식물과 교잡하여 생성된 잡종의 번식이 왕성해 2차적 피해를 야기한다. 전 세계적으로 17종이 존재한다고 알려졌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갯줄풀(Spartina alterniflora)과 영국갯끈풀(Spartina anglica) 두 종이 출현하고 있다.
사업목적
- 유해해양생물 갯끈풀 제거ㆍ관리를 통해 토종 염생식물 서식지 보호 및 갯벌의 육지화 방지
- 외래종 갯끈풀 번식지 확산을 방지하여 해양생태계 보전 및 수산업 피해 발생 저감
갯끈풀 형태ㆍ생태적 특징
- 다년생 초본, 만조와 간조사이에 지면이 드러나는 곳의 간만의 차가 큰 갯벌에 분포
- 잎은 두텁고 다소 넓은 긴 칼날 모양을 하며 끝은 뾰족함
- 잎 폭은 0.6~1.5cm, 높이는 0.4~3m 정도까지 자라며, 서로 촘촘히 붙어 성장하며 군생함
- 지하경을 길게 뻗고, 잔뿌리가 많아 복잡한 근계(complex root system)를 형성하여 무성번식으로 재생될 수 있음
갯끈풀 식별방법
-
갯끈풀
- 1.지상부 초입부터 잎이 생장
- 2.화서가 거의 없음
- 3.근계가 매우 복잡하게 형성
- 4.소~대형 원형군락 형성
- 5.강한 번식력
- 6.길이 100~250cm
-
갈대
- 1.지면에서 20cm 이상 높이부터 잎이 생장
- 2.화서가 크고 두꺼움
- 3.길이 100~300cm
-
지채
- 1.개체길이가 짧음
- 2.주로 소형군락(직경 50cm이하) 형성
- 3.길이 10~50cm
갯끈풀 국내분포 현황
(2023.12 기준)
갯끈풀 제거방법
- 물리적 제거 - 예초기, 낫, 중장비 이용
- 화학적제거 - 제초제 이용
- 생물학적 제거 - 멸구류 수액 및 곤충 이용
※ 국내에서는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해 물리적 제거방식에 국한하여 시행
- 갯끈풀 제거작업 전·후
2024년 사업추진 계획
- 갯끈풀 주 서식지인 강화도 주변 갯끈풀 제거 및 처리
- 갯끈풀 서식지 자연생태조사 및 해양환경영향조사
- 전국단위 갯끈풀 서식현황 모니터링 및 긴급대응
- 갯끈풀 이력관리를 위한 서식지 공간관리기반 구축
- 갯끈풀 제거 및 관리 사업 교육·홍보·대외협력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