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EM 해양환경공단

팝업존
전체메뉴닫기

사업안내

유해해양생물 관리

유해해양생물 보름달물해파리 관리

본 사업은 보름달물해파리 피해 사전예방을 위하여 해파리 폴립(부착유생) 단계에 대한 제거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거 전·후 해파리 및 생태계를 모니터링하여 해양생태계 개선 및 관리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사업목적

  • 대량발생으로 인하여 해양생태계와 서식지를 교란하는 보름달물해파리 폴립을 제거하여 수산업 피해를 저감하고 해양자산의 건강성을 회복하여 국민 경제 활성화에 기여

해파리 부착유생(폴립) 제거의 효과성

폴립(1개체당 0.4μg)제거는 성체(1개체당 300g)구제 비용의 0.8~3.1%에 불과 - 저비용, 고효율적인 방법으로 해파리 대량발생 사전 예방

보름달물해파리 폴립 제거사업 모식도

보름달물해파리의 생활사
보름달물해파리 폴립 제거사업 모식도 이미지
  • 1마리 : 부착유생(폴립)-증식250배
  • 부착유생 - 20배:변태
  • 부착유생 - 방출
  • 부유유생(에피라) - 성장
  • 성체 : 5000마리
  • 부유유생(폴라눌라)
보름달물해파리란
  • 4~8월에 전국 연안의 흐름이 약한 곳에서 대량 출현하여 어업, 발전소, 해수욕객에게 피해 유발
  • 무색 또는 유백색으로,우산은 15~30cm 크기 내외이며 보름달 모양
  •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 2조에 따른 유해해양생물 지정종
해파리 폴립 제거 방식

해수고압분사 또는 다양한 물리적 방법(스크래퍼, 평삽, 브러쉬 등) 부착상태의 해파리 폴립제거

  - 고압분사란? 바닷물을 높은 압력으로 분사하는 친환경적 제거 방식

폴립제거 전·후 모습

  • 폴립제거 전후 모습 사진제거 전
  • 폴립제거 전후 모습 사진제거 후

2025년 사업 추진 계획

경기, 충남, 전북, 전남, 경남권역 해파리 플립 대량서식지 제거
  • 폴립 대량서식 해역 대상 폴립제거 실시

    * (경기) 평택항, (충남) 고대관리부두, 남당항, (전부) 위도항, (전남) 목포항, 완도항, 비봉마리나, (경남) 통영운하 주변해역, 거제만 주변해역

  • 해파리 광역 탐색 모니터링에 의한 차기 폴립제거 후보지 발굴 및 폴립제거 효과성 검증

    * 인천북항, 시화호, 전곡항, 비응항, 가력도항, 격포항, 가막만, 녹동항, 남포항, 장승포항, 마산만, 안골포, 수영마리나

보름달물해파리 폴립 분포도
보름달물해파리 폴립 분포도 사진
1. 밀집지역 : 강원 양양, 포항 요트계류장, 통영, 남해, 군산항, 천수만, 대산항, 평택항, 송도, 인천내항 2. 서식지역 : 도두항, 김녕항, 완도, 광암항, 양포항, 오산항, 개야도, 어청도 3. 제거지역 : 진도, 완도, 해남, 강진만, 득량만, 가막만, 압해도, 목포, 마산만, 진해만, 새만금, 당진항, 시화호

해양수산부 해파리 폴립 탐색 및 제거

주요성과 (해파리 폴립 제거)
연도 플립탐색 대상해역 플립 제거량(개체)
2013 시화호, 마산만 211,396,047
2014 마산만, 새만금 256,438,770
2015 새만금, 가막만 232,472,198
2016 여자만, 새만금, 가막만, 득량만 512,973,524
2017 완도, 강진, 해남, 고금, 조약, 가막만, 새만금, 득량만, 가력도항, 서상항 587,827,793
2018 송도신항, 평택항, 고대관리부두, 전곡마리나 166,669,823
2019 인천북항, 인천 연안부두, 전곡마리나, 평택항 541,261,257
2020 인천항, 대산항, 전곡부잔교, 평택항서부두 295,510,200
2021 평택항, 전곡항, 천수만, 비응항, 도남항, 강구안, 북신만, 완도 360,689,828
2022 완도·통영 도서지역, 부산수영·포항(요트계류장), 김녕항, 격포항, 가력도항, 궁항, 신시도항, 야미도항 298,664,221
2023 인천항, 새만금, 목포항, 득량만, 거제만 561,663,751
2024 새만금 방조제, 비응항, 야미도항, 신시도항, 가력도항, 격포항, 목포북항 343,791,444

지방자치단체 해파리 폴립탐색 및 제거

지방자치단체 해파리 폴립탐색 및 제거 (해파리 폴립 제거)
년도 발주처 플립탐색 대상해역 플립 제거량(개체)
2014~15 전라남도 득량만 263,640,254
2015 창원시 광암항, 속천부두 18,648,494
2015~16 전라남도 압해도, 목포신·구항 142,935,997
2016 고성군 고성만, 자란만 2,304,146
2018 창원시 가포신항, 수정만 9,962,660
2019 고성군 고성만, 자란만 47,124,914
창원시 진동만, 광암항, 고현항 15,204,898
통영시 죽림만, 산양읍 17,248,450
남해군 장포항 10,669,532
거제시 거제면, 동부면 35,217,370
2020 창원시 가포신항, 구산면 14,304,315
통영시 광도면, 통영유람선터미널 11,529,540
남해군 적량항 19,804,356
거제시 일운면, 장승포동 73,169,665
고흥군 거금도, 녹동항, 풍남항, 구암리 일대, 득량만 내측 200,595,791
2021 거제시 법동항, 솔정원펜션부두, 서상방파제, 와현선착장 12,591,234
창원시 원전항, 마산항2부두 17,826,550
부안군 격포항, 가력도항 34,806,910
2022 창원시 법마산항, 욱곡만 17,084,168
부안군 격포항, 궁항 66,368,450
2023 창원시 가포신항, 원전항 12,370,255
부안군 가력도항, 새만금 1호 방조제 11,673,600
군산시 새만금 4호 방조제 21,339,200
2024 창원시 속천항, 진해루 654,738
부안군 위도항, 궁항 77,513,100
유해해양생물 갯끈풀 제거·관리

유해해양생물 및 생태교란생물로 지정된 갯끈풀은 국내에서 2015년 공식적으로 첫 보고된 이후 강화도 등지에서 빠른 속도로 번식하여 우리나라 토종 갯벌생태계를 황폐화시키고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외래종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약 1조 4천억 달러에 이르며(Pimentel, 2001) 이에 따라 해양환경공단에서는 갯끈풀 분포현황 파악 및 생태조사, 제거·모니터링 및 효과분석, 추가발견지역 긴급대응, 홍보·교육 등을 통해 우리나라 해양생태계 보전과 지역경제 피해 예방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 갯끈풀 : 다년생 벼과 기수성 생물이며, 동일 속의 식물과 교잡하여 생성된 잡종의 번식이 왕성해 2차적 피해를 야기한다. 전 세계적으로 17종이 존재한다고 알려졌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갯줄풀(Spartina alterniflora)과 영국갯끈풀(Spartina anglica) 두 종이 출현하고 있다.

사업목적

  • 유해해양생물 갯끈풀 제거ㆍ관리를 통해 토종 염생식물 서식지 보호 및 갯벌의 육지화 방지
  • 외래종 갯끈풀 번식지 확산을 방지하여 해양생태계 보전 및 수산업 피해 발생 저감

갯끈풀 형태ㆍ생태적 특징

  • 다년생 초본, 만조와 간조사이에 지면이 드러나는 곳의 간만의 차가 큰 갯벌에 분포
  • 잎은 두텁고 다소 넓은 긴 칼날 모양을 하며 끝은 뾰족함
  • 잎 폭은 0.6~1.5cm, 높이는 0.4~3m 정도까지 자라며, 서로 촘촘히 붙어 성장하며 군생함
  • 지하경을 길게 뻗고, 잔뿌리가 많아 복잡한 근계(complex root system)를 형성하여 무성번식으로 재생될 수 있음

갯끈풀 식별방법

  • 갯끈풀 이미지
    갯끈풀
    • 1.지상부 초입부터 잎이 생장
    • 2.화서가 거의 없음
    • 3.근계가 매우 복잡하게 형성
    • 4.소~대형 원형군락 형성
    • 5.강한 번식력
    • 6.길이 100~250cm
  • 갈대 이미지
    갈대
    • 1.지면에서 20cm 이상 높이부터 잎이 생장
    • 2.화서가 크고 두꺼움
    • 3.길이 100~300cm
  • 지채 이미지
    지채
    • 1.개체길이가 짧음
    • 2.주로 소형군락(직경 50cm이하) 형성
    • 3.길이 10~50cm

갯끈풀 국내분포 현황
(2025.01 기준)

갯끈풀 국내분포 현황 지도 이미지 - 인천광역시 강화도, 인천광역시 영종도, 신도, 장봉도, 경기도 안산시 대부도, 충청남도 서산시, 서천군, 전라북도 김제, 전라남도 진도군

갯끈풀 제거방법

  • 물리적 제거 - 예초기, 낫, 중장비 이용 사진 물리적 제거 - 예초기, 낫, 중장비 이용
  • 화학적제거 - 제초제 이용 사진 화학적제거 - 제초제 이용
  • 생물학적 제거 - 멸구류 수액 및 곤충 이용 사진 생물학적 제거 - 멸구류 수액 및 곤충 이용
 

※ 국내에서는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해 물리적 제거방식에 국한하여 시행

 
  • 갯끈풀 제거작업 전·후  사진1
  • 갯끈풀 제거작업 전·후  사진2 갯끈풀 제거작업 전·후
  • 갯끈풀 제거작업 전·후  사진3

2025년 사업추진 계획

  • 갯끈풀 서식지 대상 제거 및 처리
  • 갯끈풀 서식지 모니터링 및 공간관리
  • 갯끈풀 서식지 자연생태조사
  • 사업 관련 교육·홍보 및 국내외 협력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