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EM 해양환경공단

팝업존
전체메뉴닫기

사업안내

해양보호구역 관리

보호구역 총 36개소 - 습지보호지역 17, 해양생태보호구역 16, 해양생물보호구역 2, 해양경관보호구역 1
우리의 소중한 해양생태계 자원을 다음 세대에게도

해양환경공단은 해양보호구역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주민참여형 관리체계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으며,해양보호구역의 생태·사회·문화·경제적 가치를 증진하고우리 갯벌의 가치를 알리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17개의 습지보호지역과 16개의 해양생태계보호구역, 2개의 해양생물보호구역, 1개의 해양경관보호구역까지 총 36개의 해양보호구역(총 면적 1,865.622㎢)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지도 확대보기

사업목적

  • 해양보호구역 관리체계 개선과 지역주민의 자율적인 현장관리 역량 향상
  • 참여적 인식증진 활동을 활성화하여 해양생태계 보전에 대한 국민 공감대 확산

해양보호구역

  • 오륙도 사진 오륙도
  • 토끼섬 사진 토끼섬
  • 가로림만 사진 가로림만
습지보호지역(17개소)
  • 옹진장봉도갯벌, 송도갯벌, 시흥갯벌, 서천갯벌, 부안줄포만갯벌, 고창갯벌, 무안갯벌, 신안갯벌, 진도갯벌, 순천만갯벌, 보성벌교갯벌, 봉암갯벌, 대부도갯벌, 화성 매향리갯벌, 고흥갯벌, 사천 광포만갯벌, 오조리갯벌
해양생태계보호구역(16개소)
  • 대이작도 주변해역, 신두리 사구해역, 오륙도 및 주변해역, 문섬 등 주변해역, 가거도 주변해역, 소화도 주변해역, 남형제섬 주변해역, 나무섬 주변해역, 청산도 주변해역, 울릉도 주변해역, 추자도 주변해역, 토끼섬 주변해역, 조도 주변해역, 통영 선촌마을 주변해역, 포항 호미곶 주변해역, 울진 나곡리 주변해역
해양생물보호구역(2개소)
  • 가로림만해역, 고성군 하이면 주변해역
해양경관보호구역(1개소)
  • 보령 소황사구 해역

사업발전(추진)방향

  • 해양보호구역 관리평가를 실시하여 관리개선 및 정책방안 제언
  • 관리체계 확립, 관리자 역량강화, 네트워크 활성화, 인식증진 등을 통한 지역자율형 해양보호구역 관리기반 강화

추진체계

상세내용 하단 참고
  1. 해양수산부
    1. 운영위원회
    2. 해양보호구역센터
      1. 지자체 및 지역해양보호구역센터
      2. 전문가 및 NGO

사업계획

해양보호구역 신규 및 확대지정 지원
  • 해양생태계 보전관리를 위한 해양보호구역 지속적 확대 추진
지역자율형 해양보호구역 관리체계 구축
  •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및 「해양보호구역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 해양보호구역 시민모니터링 통합관리 (해양보호구역센터: 시민모니터링 통합관리사무국)
  • 해양보호구역 관리기본계획 환류를 위한 중장기 관리효과성 평가
  • 랍사르협약 이행을 위한 ‘람사르 습지도시 인증제도’ 운영
해양보호구역 인식증진
  • 세계습지의 날 기념행사 개최
  • 해양보호구역대회 개최
해양보호구역 대외협력
  • 생물다양성협약 및 람사르협약 등 해양보호구역 관련 국제협력체계 운영
  • 지역해양보호구역센터 네트워크 교류협력 및 활성화 지원

주요성과

해양보호구역 국제네트워크 강화
  • 해양보호구역 중장기 관리효과성 평가(’12년~)를 통한 관리개선 도모
  • 세계습지의 날 기념행사 개최(’10년~/격년)
  • 해양보호구역대회 개최(’08년~/매년)
해양생태계 글로벌 보전 네트워크 강화
  • 국내 연안습지의 람사르습지 등록(인천 송도갯벌 등 연안습지 7개소)
  • 습지 보전 및 현명한 이용에 기여한 람사르 습지도시 등록 (순천시 등 연안습지도시 3개소)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모달팝업닫기
보호구역 총 36개소 - 습지보호지역 17, 해양생태보호구역 16, 해양생물보호구역 2, 해양경관보호구역 1
다시 만드는 깨끗한 갯벌

우리나라 갯벌은 수십 년간 이루어진 간척·매립 등으로 인해 상실·훼손되어 왔습니다.
도서지역 교통 불편 해소를 위해 건설된 연륙교, 노두(길) 등은
갯벌의 물길소통 저하와 퇴적변화 등을 야기했습니다.
해양환경공단은 간척·매립 등으로 상실·훼손된 갯벌, 물길을 막고 퇴적변화를 발생시켜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는 연륙교·노둣길, 방치되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폐염전·폐양식장 등을 조사하여 지속적으로 갯벌생태계 복원 후보지를 제안하고, 갯벌생태계 복원사업을 추진하여 훼손되기 이전의 깨끗한 갯벌을 다시 만들어갑니다.

사업목적

갯벌에 서식하는 생물의 다양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개발사업 등의 영향으로 훼손된 갯벌 등의 물리적 형태와 생태적 기능을 본래 갯벌 등의 상태로 회복·증진

사업추진계획

갯벌생태계 복원사업 추진계획
  • (계속사업 11개소) 복원공사 4개소, 실시설계 2개소, 모니터링 5개소
  • (신규사업 3개소) 보령 원산도, 보성 벌교, 서산 고파도(공사 후 모니터링 수행)
갯벌식생 복원사업 추진계획
  • (계속사업 4개소) 태안 근소만, 서귀포 성산읍, 서산 가로림만, 신안 북부권역
  • (신규사업 2개소) 기아 블루카본 프로젝트, 고창군
해양수산부 용역
  • (신규사업) 2023년도 갯벌면적조사

추진절차

절차
  • 갯벌법
  • 수립주체
사업 대상지
    • 해양생태계법에 따른 해양보호구역
    • 습지보전법에 따른 습지보호지역
    • 해양수산부 장관이 갯벌관리구역으로 지정한 지역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일정 규모 이상,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거나, 둘 이상의 광역시, 도에 걸쳐 시행할 필요가 있는 사업
    • 시장·군수·구청장이 필요로 하는 지역
  • 해양수산부 시·군·구
사전 준비
    • 기본계획수립 (5년마다)
    • 갯벌실태조사 (5년마다)
    • 관리계획수립 (5년마다)
  • 해양수산부
사업 계획
    • 사업계획 수립
      • 갯벌복원의 목표와 범위
      • 자연, 사회, 경제 환경
      • 사업방법 및 연차별 추진계획
      • 생물다양성 보호와 증대에 관한 사항
  • 사업시행자
    • 사업계획 승인 (해양수산부)
  • -
    • 실시계획 수립
      • 사업시행자 및 사업정보
      • 대상지 및 주변 단계별 복원계획
      • 자원조달 및 이용관리 계획, 개선효과 예측
      • 예정공정표, 설계도서 등
  • 사업시행자
    • 실시계획 고시 및 관계 행정기관장에게 통보
  • -
복원 사업
    • 복원공사 (실시계획 시공)
  • 사업주체
사후 유지
관리
    • 사후모니터링 (5개년)
  • 해당 지자체

주요 성과

주요 성과 표 | 구분, 사업명, 기간, 추진현황 정보를 제공함.
구분 사업명 사업기간
복원공사 순천 화포해역 갯벌복원 공사(계속) ‘20.~’24.
신안 암태-추포도 갯벌복원 공사(계속) ‘21.~’24.
서산 웅도 갯벌복원 공사(계속) ‘21.~’25.
서산 고파도 갯벌복원 공사(계속) ‘18.~’23.
실시설계 갯벌복원 보령 죽도 갯벌복원 사업 ‘22.~’25.
서천 선도리 갯벌복원 사업 ‘22.~’25.
(신규) 보령 원산도 갯벌복원 사업 ‘23.~’26.
(신규) 보성 벌교 갯벌복원 사업 ‘23.~’26.
갯벌식생 태안 근소만 ‘22.~’25.
서귀포 성산읍 ‘22.~’25.
서산 가로림만 ‘22.~’25.
신안 북부권역 ‘22.~’25.
(신규) 기아 블루카본 프로젝트 ‘23.~’25.
(신규) 고창군 ‘23.~’26.
모니터링 옹진군 시·모도 ‘19.~’23.
순천 장산지구 ‘20.~’23.
서천 유부도 ‘22.~’27.
보령 무창포 ‘22.~’27.
고창 곰소만 ‘22.~’27.
(신규) 서산 고파도 ‘23.~’28.
해양수산부 용역 (신규) 2023년도 갯벌면적조사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