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보호구역 관리

우리의 소중한 해양생태계 자원을 다음 세대에게도
해양환경공단에서는 해양보호구역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2010년부터 해양보호구역센터(MPA Center,
Marine Protected Area Center)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14개의 습지보호지역과 15개의 해양생태계보호구역, 2개의 해양생물보호구역,
1개의 해양경관보호구역까지 총 32개의 해양보호구역 (총 면적 1,798.692㎢)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사업목적
- 해양보호구역 관리체계 개선과 지역주민의 자율적인 현장관리 역량 향상
- 참여적 인식증진 활동을 활성화하여 해양생태계 보전에 대한 국민 공감대 확산
해양보호구역
오륙도
토끼섬
가로림만
습지보호지역(14개소)
- 옹진장봉도갯벌, 송도갯벌, 시흥갯벌, 서천갯벌, 부안줄포만갯벌, 고창갯벌, 무안갯벌, 신안갯벌, 진도갯벌, 순천만갯벌, 보성벌교갯벌, 봉암갯벌, 대부도갯벌, 화성 매향리갯벌
해양생태계보호구역(15개소)
- 대이작도 주변해역, 신두리 사구해역, 오륙도 및 주변해역, 문섬 등 주변해역, 가거도 주변해역, 소화도 주변해역, 남형제섬 주변해역, 나무섬 주변해역, 청산도 주변해역, 울릉도 주변해역, 추자도 주변해역, 토끼섬 주변해역, 조도 주변해역, 통영 선촌마을 주변해역, 포항 호미곶 주변해역
해양생물보호구역(2개소)
- 가로림만해역, 고성군 하이면 주변해역
해양경관보호구역(1개소)
- 보령 소황사구 해역
사업발전(추진)방향
- 해양보호구역 관리평가를 실시하여 관리개선 및 정책방안 제언
- 관리체계 확립, 관리자 역량강화, 네트워크 활성화, 인식증진 등을 통한 지역자율형 해양보호구역 관리기반 강화
추진체계

- 해양수산부
- 운영위원회
- 해양보호구역센터
- 지자체 및 지역해양보호구역센터
- 전문가 및 NGO
사업계획
해양보호구역 신규 및 확대지정 지원
- 해양생태계 보전관리를 위한 해양보호구역 지속적 확대 추진
지역자율형 해양보호구역 관리체계 구축
-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및 「해양보호구역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 해양보호구역 시민모니터링 통합관리 (해양보호구역센터: 시민모니터링 통합관리사무국)
- 해양보호구역 관리기본계획 환류를 위한 중장기 관리효과성 평가
- 랍사르협약 이행을 위한 ‘람사르 습지도시 인증제도’ 운영
해양보호구역 인식증진
- 세계습지의 날 기념행사 개최
- 해양보호구역대회 개최
해양보호구역 대외협력
- 생물다양성협약 및 람사르협약 등 해양보호구역 관련 국제협력체계 운영
- 지역해양보호구역센터 네트워크 교류협력 및 활성화 지원
주요성과
해양보호구역 국제네트워크 강화
- 해양보호구역 중장기 관리효과성 평가(’12년~)를 통한 관리개선 도모
- 세계습지의 날 기념행사 개최(’10년~/격년)
- 해양보호구역대회 개최(’08년~/매년)
제 15회 세계습지의 날 기념행사
제 9회 해양보호구역대회
지역해양보호구역센터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글로벌 보전 네트워크 강화
- 국내 연안습지의 람사르습지 등록(인천 송도갯벌 등 연안습지 7개소)
- 습지 보전 및 현명한 이용에 기여한 람사르 습지도시 등록 (순천시 등 연안습지도시 2개소)
- 프랑스 해양보호구역청(FMPAA) MOU 체결(’13년11월)
- 한-와덴해3국 협의체(네덜란드·독일·덴마크) 교류·협력사업 추진(’09년~) 및 3개년 실행계획 수립(’15년)
- 한-미(NOAA) 해양과학기술 교류·협력사업 추진(’09년~)
한·와덴해 협력사업
한미 해양과학기술협력사업
인천 송도갯벌 람사르습지 등록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모달팝업닫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