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환경 모니터링
해양환경공단은 우리나라 연안 및 근해역의 해양환경 상태와 오염원을 정기적으로 조사하여 해양환경 현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체계적인 해양환경관리 및 보전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본자료를 생산합니다.
사업목적
- 전국연안의 해양환경 상태를 정기적으로 조사하고 및 해양환경실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해양환경관리정책수립의 기본 자료로 활용
- 해양생태계 구성요소의 매체별 조사 강화로 종합적인 해양환경측정망 구성
- 국가 해양환경 보전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및 정책을 제안하고 대국민 서비스 제공
사업발전(추진)방향
-
정비 단계1996~1998년
- 연안어장오염조사(수산청)와 해양오염 측정망(환경부)를 통합
- 국가 해양환경측정망 구축(280 정점) 해수에 국한된 조사
-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개발
-
도약 단계1999~2009년
- 국가 해양환경측정망 확대
(296정점 - 347정점 - 363정점) - 조사항목 확대(유해화학물질조사강화)
- 생물 및 화학인자 추가(4항목)
- 매체별(해수, 해저퇴적물, 해양생물) 조사로 확대 개편
-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개정(항목추가)
- 항만환경측정망 신설(40개 정점)
- 미량금속(60정점 - 77정점) 및 유해 화학물질(20정점 - 25정점) 조사 확대
- 하구측정망 신설(섬진강 조사)
- 국가 해양환경측정망 확대
-
종합모니터링
체제 구축 2010년 이후- 항만환경측정망 운영(50개 정점)
(무역항 36개 정점, 연안항 8개 정점, 국가어항 6개 정점) - 하천영향 및 반폐쇄성환경측정망 운영(230개 정점)
(5개 생태구 21개 하천영향하구 및 반폐쇄성 만) - 연안해역환경측정망 운영(145개)
(5개 생태구 5개 연안) - 오염심각해역 수질자동측정망 운영(19개소)
- 광역측정망 운영
(정기운항선박을 이용한 2개소) - 해양방사성물질측정망 운영(52개 정점)
(일반정점 23개, 주요정점 29개)
- 항만환경측정망 운영(50개 정점)
해양환경측정망 운영체계
해양환경측정망
- 전국연안에 대한 해양환경 상태와 오염원 조사를 정기적(2월, 5월, 8월, 11월)으로 수행
- 항만환경측정망, 하천영향 및 반폐쇄성해역환경측정망, 연안해역환경측정망, 해양방사성물질측정망으로 구성
- 전국연안 425개의 정점에서 해수, 해저퇴적물, 해양 생물에 대한 매질별 조사를 수행
- 특별관리해역(울산연안, 부산연안, 마산만, 광양만, 시화호-인천연안) 및 하구역(만)(영일만, 진해만, 영산강하구, 금강하구)에 대한 집중조사 실시
- 전국연안 52개 정점에서 매질별 해양방사성물질 조사 수행
해양환경측정망의 조사 매질에 따른 조사항목과 시기, 조사정점 수
항만환경측정망
구분 | 조사항목 | 조사시기 | 조사정점 | |
---|---|---|---|---|
해수 | 일반항목(15) | 수온, 염분, 수소이온농도, 용존산소, 화학적산소요구량, 총질소, 용존무기질소(질산성질소, 아질산성질소, 암모니아성질소), 총인, 인산염인, 규산염, 부유입자물질, 투명도, 유분 | 2, 8월 | 50개 정점 |
미량금속(8) | 구리, 납, 아연, 카드뮴, 6가크롬, 총수은, 비소, 시안 | 2, 8월 | 26개 정점 | |
해저 퇴적물 | 일반항목(5) | 입도, 강열감량, 산휘발성황화물, 화학적산소요구량, 총유기탄소 | 2월 | 26개 정점 |
미량금속(13) | 구리, 납, 아연, 카드뮴, 크롬, 총수은, 비소,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 리튬, 철, 망간 | 2월 | 26개 정점 | |
해양생물 | 일반항목(1) | 클로로필 a | 2, 8월 | 50개 정점 |
미량금속(7) | 구리, 납, 아연, 카드뮴, 크롬, 총수은, 비소 | 2월 | 23개 정점 | |
비고 |
|
하천영향 및 반폐쇄성해역환경측정망
구분 | 조사항목 | 조사시기 | 조사정점 | |
---|---|---|---|---|
해수 | 일반항목(16) | 수온, 염분, 수소이온농도, 용존산소, 화학적산소요구량, 총질소, 용존무기질소(질산성질소, 아질산성질소, 암모니아성질소), 총인, 인산염인, 규산염, 부유입자물질, 투명도, 입자성유기탄소, 용존성유기탄소 | 2, 5, 8, 11월 | 230개 정점 |
미량금속(8) | 구리, 납, 아연, 카드뮴, 6가크롬, 총수은, 비소, 시안 | 2, 8월 | 139개 정점 | |
해저 퇴적물 | 일반항목(4) | 입도, 강열감량, 산휘발성황화물, 화학적산소요구량 | 2월 | 139개 정점 |
미량금속(13) | 구리, 납, 아연, 카드뮴, 크롬, 총수은, 비소,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 리튬, 철, 망간 | 2월 | 139개 정점 | |
해양생물 | 일반항목(1) | 클로로필 a | 2, 5, 8, 11월 | 230개 정점 |
미량금속(7) | 구리, 납, 아연, 카드뮴, 크롬, 총수은, 비소 | 2월 | 22개 정점 |
- 해수는 표ㆍ저층 조사를 원칙으로 하며, 단, 미량금속은 표층조사
- 해수 미량금속의 조사정점은 [해양환경측정망 구성‧운영 계획고시 7. 측정망별 조사정점] 참조
- 해저퇴적물 조사정점은 해수 미량금속 조사정점과 동일
- 특별관리해역 집중조사는 마산만, 부산연안, 시화호-인천연안에서 6, 7월 추가조사(총6회)
- 하구역 및 만 시범조사는 금강하구, 영산강하구, 진해만, 영일만에서 6, 7월 추가조사(총 6회)
- POC와 DOC는 집중조사 및 시범조사 정점에서 조사함
- 해양생물은 진주담치 및 굴 체내의 미량금속 농도를 추정하여 해양환경 오염 상태를 진단
연안해역환경측정망
구분 | 조사항목 | 조사시기 | 조사정점 | |
---|---|---|---|---|
해수 | 일반항목(14) | 수온, 염분, 수소이온농도, 용존산소, 화학적산소요구량, 총질소, 용존무기질소(질산성질소, 아질산성질소, 암모니아성질소), 총인, 인산염인, 규산염, 부유입자물질, 투명도 | 2, 5, 8, 11월 | 145개 정점 |
미량금속(8) | 구리, 납, 아연, 카드뮴, 6가크롬, 총수은, 비소, 시안 | 2, 8월 | 33개 정점 | |
해저 퇴적물 | 일반항목(4) | 입도, 강열감량, 산휘발성황화물, 화학적산소요구량 | 2월 | 33개 정점 |
미량금속(13) | 구리, 납, 아연, 카드뮴, 크롬, 총수은, 비소,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 리튬, 철, 망간 | 2월 | 33개 정점 | |
해양생물 | 일반항목(1) | 클로로필 a | 2, 5, 8, 11월 | 145개 정점 |
미량금속(7) | 구리, 납, 아연, 카드뮴, 크롬, 총수은, 비소 | 2월 | 5개 정점 |
- 해수는 표ㆍ저층 조사를 원칙으로 하며, 단, 미량금속은 표층조사
- 해수 미량금속의 조사정점은 [해양환경측정망 구성‧운영 계획고시 7. 측정망별 조사정점] 참조
- 해저퇴적물 조사정점은 해수 미량금속 조사정점과 동일
- 해양생물은 진주담치 및 굴 체내의 미량금속 농도를 추정하여 해양환경 오염 상태를 진단
해양방사성물질측정망
구분 | 조사항목 | 조사시기 | 조사정점 | |
---|---|---|---|---|
해수 | 134Cs, 137Cs, 3H, 전베타, 90Sr, 239+240Pu, 240Pu/239Pu | 2월 | 52개 정점 | |
134Cs, 137Cs, 3H, 전베타 | 8월 | 52개 정점 | ||
134Cs, 137Cs, 3H | 4, 6, 10, 12월 | 29개 정점 | ||
해저퇴적물 | 134Cs, 137Cs, 239+240Pu, 240Pu/239Pu | 2월 | 45개 정점 | |
해양생물 | 패류 | 134Cs, 137Cs | 2∼10월 | 25개 정점 |
어류 | 7개 정점 |
- 해수는 표층조사를 실시원칙으로 하며, 부산5, 통영외안5, 축산2, 주문진1은 4월 수직(표・중・저층) 조사 실시
- 해양생물은 담치, 굴, 소라 등 연안부착·고착성 생물(패류) 및 어류 중 방사성핵종 조사 실시
해양환경경측정망 운영 체계도
- 항만 환경측정망
- 연근해 환경측정망
- 환경관리해역 환경측정망
- 하구역 환경측정망
- 해양대기 환경측정망
- 오염심각해역 수질자동측정망
- 해양방사성 물질측정망
사업목적
- 연안오염우심해역 및 하구역에서 수질 상시 측정을 통하여 해양 환경 상태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변화를 예측, 예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
- 국가 해양환경 관리 및 보전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및 대국민 서비스 실시
사업발전(추진)방향
오염심각해역 수질자동측정소 운영
- 수질자동측정소는 총 18개소 중 특별관리해역(시화호-인천연안, 마산만, 부산연안, 울산만, 광양만)에서 총 10개 측정소가 구축되어 운영 중
- 오염우심해역의 수질 상시측정을 통한 실시간 해양환경 상태 변화, 예측 및 예보에 필요한 기본 자료를 제공
- 신뢰성 있는 해양환경자료의 생산을 위한 품질관리 및 정도관리 시험 시행
수질자동측정소 설치현황
순번 | 해역구분 | 측정소 | 위치 | 설치연도 |
---|---|---|---|---|
1 | 시화호·인천연안 | 인천송도 | 인천시 연수구 송도동 410-1 신항 관리부두 | 2013년 |
2 | 시화조력 | 경기 안산시 대부황금로 1927 | 2013년 | |
3 | 시화반월 | 경기 안산시 시화호수로 860 | 2013년 | |
4 | 마산만 | 마산삼귀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삼귀로 131 | 2013년 |
5 | 마산봉암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적현로 124 뒤편 다리 | 2013년 | |
6 | 마산양덕 |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자유무역1길 24 | 2013년 | |
7 | 광양만 | 광양망덕 | 전남 광양시 진월면 망덕1길 33-39 | 2013년 |
8 | 광양초남 | 전남 광양시 광양읍 초남공단3길 27 | 2013년 | |
9 | 광양적량 | 전남 여수시 여수산단로 923-106 | 2016년 | |
10 | 낙동강 하구 | 낙동을숙 | 부산 사하구 하단동 1150-15 낙동강 하구둑 해측 | 2017년 |
11 | 낙동명지 | 부산 강서구 명지새동네길 2번길 56 낙동강 하구 서단 해측 | 2011년 | |
12 | 영산강 하구 | 영산영암 | 전남 영암군 삼호읍 대불로 983-34 | 2011년 |
13 | 영산목포 | 전남 목포시 죽교동 해양대학로 91 | 2023년 | |
14 | 금강 하구 | 금강하구 | 전북 군산시 임해로 442-1 | 2013년 |
15 | 새만금 연안 | 새만금 | 전북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 2443 | 2014년 |
16 | 울산연안 | 울산매암 | 울산광역시 남구 장생포고래로 276번길 28 | 2015년 |
17 | 한강하구 | 인천강화 | 경기 김포시 월곶면 김포대로 3023번길 93 (구)강화대교 | 2017년 |
18 | 천수만 | 천수만 | 충남 홍성군 서부면 남당리 862 | 2018년 |
추진체계
-
1단계
세부사업계획 수립 및 제출(공단→해양수산부) -
2단계
사업내용 승인 및 사업비 교부(해양수산부→공단) -
3단계
사업수행(공단) -
4단계
결과보고 및 정산(공단→해양수산부)
사업목적
- 정기운항선박을 이용한 연안 및 근해역 상시 해양관측시스템을 구축하여 기후변화 및 광역해양오염으로 인한 해양환경변화를 규명
- 국가 해양환경 보전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및 대국민 서비스 제공
사업발전(추진)방향
정기운항선박 해양자동측정소
기 기축된 인천-동해, 부산-블라디보스톡간 정기운항선박의 해양자동측정소 시운전 민 국제 FerryBox 프로그램에 참여
- EU 프로그램은 여객선, 콘테이너선 등 17개 항로 운영
- 북유럽 국가들은 자국 선박을 이용 30개 노선에서 운영 중
- 아시아에서는 일본-홍콩-말레이시아 노선과 오오사카-오끼나와 노선에서 운영
정기운항선박 해양자동측정소 설치현황
구분 | 부산-블라디보스톡 정기운항선박 해양자동측정소 | 공단 해양환경조사선 내 해양자동측정소 |
---|---|---|
선박 소유회사 | 고려해운(컨테이너선) | 해양환경공단(조사선3호) |
톤수 | 3,994톤 | 398톤 |
항로 | 부산항↔블라디보스톡항 | 거진↔울산 |
운항·측정빈도 | 주 1회 | 연 6회 |
추진체계
-
1단계
세부사업계획 수립 및 제출(해양환경공단→해양수산부) -
2단계
사업내용 승인 및 사업비 교부(해양수산부→해양환경공단) -
3단계
사업수행(해양환경공단) -
4단계
결과보고 및 정산(해양환경공단→해양수산부)
해양환경의 정도관리란, 측정·분석의 정확성 및 정밀성을 시료채취ㆍ분석ㆍ자료처리 등 분석과 분석 전후의 모든 과정과 그에 관여하는 인력ㆍ장비ㆍ환경 요소들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하여 오류의 원인을 조기에 감지·예방하고 오류가 검사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신뢰성 있는 자료를 만들어 대응조치(법률적 방어) 및 정책수립(의사결정)을 하는 모든 노력을 뜻합니다.
해양환경정보포털(정도관리 시스템) 바로가기사업목적
해양환경 측정·분석기관에 대한 측정·분석능력 향상 및 결과에 대한 정확성과 신뢰성 확보
사업추진 방향
정도관리 시스템 운영
- 해양환경 측정·분석기관의 분석능력 인증
- 정도관리 시스템(www.meis.go.kr)을 통해 숙련도 시험을 신청한 해양환경 측정·분석기관을 대상으로 정도관리 평가항목(해수수질, 해양퇴적물, 해양생물)에 대한 숙련도 시험을 실시하고 적합 판정을 받은 기관에 대해 현장평가를 실시
- 분석능력 인증 미흡기관 및 교육 희망기관을 대상으로 교육·훈련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
정도관리 시스템 운영절차
- 해양수산부
- 해양환경공단
- 정도관리 및 측정·분석능력 인증 공고 - 대상기관 설명회(교육 및 맞춤형 컨설팅) - 정도관리 신청서 접수
- 숙련도평가(기본분야) - 정도관리 완료(대상기관 의무이행, 매년 실시)
- 숙련도평가(선택분야) - 적합 판정 - 현장평가(미흡사항 보완 완료, 심의의원회 개최) - 측정·분석능력 인증서 발급(인증 3년 유효)
숙련도평가 대상항목
구분 | 정도관리 기본분야 | 인증 선택분야 |
---|---|---|
근거 | 해양환경관리법 제12조 | 해양환경관리법 제13조 |
대상기관 | 시행령 제7조 정도관리 대상기관 | 해양환경 측정·분석기관 중 인증을 희망하는 기관 또는 측정·분석능력 인증서를 보유한 기관 중 인증서를 갱신해야 하는 기관 |
평가분야/항목 | 2개 분야 총 10 항목 | 3개 분야 총 28 항목 |
평가분야 별로 정도관리 및 인증을 위한 숙련도평가 상세 항목
구분 | 평가분야 | 평가항목 | |
---|---|---|---|
기본분야 | 수질 | 일반항목 (3개 항목) |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 총인(TP) |
미량금속 (7개 항목) |
구리(Cu), 납(Pb), 아연(Zn), 카드뮴(Cd), 6가크롬(Cr6+), 비소(As), 수은(Hg) | ||
선택분야 | 수질 | 일반항목 (8개 항목) |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 총인(TP), 질산성 질소(NO3-), 아질산성 질소(NO2-), 암모니아성 질소(NH4+), 인산염인(PO43-), 규산염(Si(OH)4) |
미량금속 (8개 항목) |
구리(Cu), 납(Pb), 아연(Zn), 카드뮴(Cd), 6가크롬(Cr6+), 비소(As), 수은(Hg), 니켈(Ni) | ||
퇴적물 | 미량금속 (12개 항목) |
구리(Cu), 납(Pb), 아연(Zn), 카드뮴(Cd), 비소(As), 수은(Hg), 니켈(Ni), 크롬(Cr), 알루미늄(Al), 철(Fe), 리튬(Li), 코발트(Co) |
현장평가위원 양성교육/실무자교육 실시
- 해양환경 정도관리 교육 : 현장평가위원 양성교육 실시
해양환경 정도관리 교육 : 현장평가위원 양성교육 실시 표로, 교육기간,교육목적,교육내용,교육효과 정보로 구성됩니다. 내용 교육목적 해양환경 측정분석 기관의 현장평가를 담당하는 평가위원에 대한 실무교육을 통해 원활하고 신뢰성 있는 현장평가 실시 교육내용 현장평가 이론,평가방법 설명 및 평가실무 교육 등 평가와 관련된 기본적인 절차와 평가기준 숙지 및 평가능력 배양 교육효과 대상기관에 대한 동일한 수준의 평가 및 전문지식 전달 - 해양환경 측정·분석기관 실무자 교육 실시
해양환경 측정·분석기관 실무자 교육 실시 표로, 교육기간,교육대상,교육목적,교육내용,교육효과 정보로 구성됩니다. 데이터 없음 내용 교육대상 해양환경 해양환경 측정분석기관의 실무자 및 대학원생 교육목적 해양환경 분야분석에 대한 이론 및 실험실습,해양환경전문조사선을 활용한 현장조사교육으로 해양환경정도관리에 필요한 전문지식 제공 교육내용 실험실 안전교육,해수및해양퇴적물분석이론,기기분석이론,현장조사실습 등 교육효과 다양한 분석방법에 대한 정보교류 및 시험자의 분석능력 강화
운영체계
- 해양수산부
- 심의위원회
- 해양환경공단
-
- 정도관리 시스템운영
- 사업 운영관리(총괄)
- 정도관리 및 인증 시행
- 표준물질 관리 및 배포
- 정도관리 제도 개선 지원
- 측정·분석기관 실무자 및 현장 평가위원 교육/제도 홍보 활동
-
- 정도관리 기술개발
- 표준물질 제조 및 공급
- 단기 및 장기 안정성 테스트
- 교차분석 실시
-
현장평가위원 양성교육/실무자교육 실시
해양환경 측정·분석기관의 분석능력 인증(www.meis.go.kr)
해양환경조사선
공단은 해양환경조사선을 동·서·남해 해역마다 1척씩 배치하여 해양환경분야 법정사업 및 긴급해양환경조사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교육,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 인천 해양환경조사1호(90톤)
- 부산 해양환경조사2호(90톤)
- 포항 해양환경조사3호(398톤)
해양환경조사선 개요
-
건조목적
국내 실정에 맞는 해양환경
조사선 건립으로 국가적
해양환경 연구 인프라 확충 -
주요수행사업
해양환경측정망 운영
해양방사성물질측정망 운영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 -
항행구역
연해구역
장비 및 시설물(공통)
구분 | 주요사항 |
---|---|
조사장비 |
|
조사용 구조 및 시설물 |
|
해양환경조사선 소개
해양환경조사1호, 2호
진수일 | ’12년, ’14년 | 총톤수 | 90톤 |
---|---|---|---|
선질 | 강재 (상부알루미늄) | 항해속력 | 최대 18knot |
주기관(HP) | 1,350 × 2 | 승선인원 | 20명 |
주요제원 L×B×D(m) | 32.9 × 6.6 × 3.0 | 추진기 | 워터제트 |
해양환경조사3호
진수일 | ’15년 | 총톤수 | 398톤 |
---|---|---|---|
선질 | 강재(상부알루미늄) | 항해속력 | 최대 15knot |
주기관(HP) | 1,800 × 2 | 승선인원 | 26명 |
주요제원 L×B×D(m) | 46.0 × 9.0 × 6.6 | 추진기 | aquamaster |
해양환경조사선 조사 장비 및 실험실 소개
wet lab | Rosette sampler | Grab 및 Core sampler | Clean room | 영양염 자동 분석기 |
---|---|---|---|---|
임대비용
조사선 임대료
구분 | 조사1, 2호 | 조사3호 |
---|---|---|
선박비 | 5,400,000원/일 | 9,200,000원/일 |
유류비 | 실사용액 청구 | 실사용액 청구 |
수당(인건비) | 공단 내부방침 적용 | 공단 내부방침 적용 |
기타 경비 |
|
|
선박비 감액조건 및 감액율
감액조건 | 감액율 |
---|---|
비영리법인에서 학술연구목적으로 임대하는 경우 | 50% |
기타 이사장이 인정하는 경우 | 50~100% |
1일 8시간 작업시 예상 비용
구분 | 산정내역 | 금액(원) | |
---|---|---|---|
조사1호, 2호 | 조사3호 | ||
계 | 6,180,000 | 13,244,000 | |
선박비* |
|
5,400,000 | 9,200,000 |
유류비** (실사용액) |
|
3,456,000 | 2,924,000 |
수당 (인건비) |
|
600,000 | 900,000 |
|
40,000 | 60,000 | |
|
40,000 | 60,000 | |
기타 |
|
100,000 | 100,000 |
* 선박비 감액조건 및 감액율: 비영리법인에서 학술연구목적으로 임대하는 경우 50%, 기타 이사장이 인정하는 경우 50~100%
** 유류(경유, 벙커A) 단가는 사용일 기준 단가 적용(변동가능)
임대절차
-
해양환경조사선
용선문의조사선 용선 희망자
-
운항지역 및
일정 검토해양수질처
각 지사 협조 -
해양환경조사선
용선 계약해양수질처↔사용주체
승선원 보험 가입 -
해양환경조사선
운항 요청해양수질처→해당 지사
-
해양환경조사선
운항해당 지사